728x90
[파이썬 기초] Counter를 이용한 항목 계산
파이썬에서 항목의 개수를 셀때 사용하는 클래스로 Counter라는게 있다. 리스트나 셋을 인자로 넘기면 각 항목을 키로 해서 개수를 알려준다. 기본사용법은 이렇다. >>>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>>>
dongdongfather.tistory.com
파이썬에서 항목의 개수를 셀 때, Counter라는 클래스를 사용할 수 있다.
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
arr = [1, 1, 2, 2, 2, 3 ,3, 4, 5, 5, 5, 5, 5]
c = Counter(arr)
print(c)
결과: Counter({5: 5, 2: 3, 1: 2, 3: 2, 4: 1})
print(c.most_common())
결과: [(5, 5), (2, 3), (1, 2), (3, 2), (4, 1)]
most_common() 메소드에인자로 숫자를 넣어주면, 해당 숫자만큼의 상위요소를 출력한다.
즉, 3을 넣는 경우, 개수가 가장 많은 3개가 출력된다.
위 코드처럼 인자를 주지 않으면 전체 요소를 출력한다.
728x90
'알고리즘 > 파이썬 문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이썬 global 전역변수 (0) | 2023.02.28 |
---|---|
파이썬 리스트 -> 문자열 (0) | 2023.02.27 |
ord함수, chr함수 (0) | 2023.02.17 |
sys.stdin.readline을 통해 입력받을 때 주의할 점 (0) | 2023.01.25 |
파이썬 - 깊은 복사(Deep Copy) (0) | 2023.01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