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부를 하면서 의문점이 생겼다. 보통 강의를 볼 때, Entity를 그냥 Service의 입력으로 받아서 사용했다. 그러다보니, DTO라는 개념을 알고는 있는데 도대체 어디서 사용하는거지? 라는 의문이 들었다. 계층 사이의 데이터 교환이 주 목적인 객체가 DTO라고 알고 있는데, DTO는 도대체 어디서 쓰는거야... 라는 생각도 들었다. 구글링을 해보니 좋은 글이 있었다. DTO의 사용범위는 어디까지? 또, DTO 변환은 어디서? 전에 Controller와 Service 계층 간 데이터 전달을 어떻게 해야 좋을지에 대한 포스팅을 작성했었다. 뭔가 숲보다 나무를 먼저 본? 느낌이긴한데... 하하; 그때 배우던 예제에선 Service가 Entity를 반환했 stella-ul.tistory.com 결국 JPA..
Spring
[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]를 공부하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 책 8장까지 진행했으나, 정리 내용은 3장까지입니다. 현재 AWS RDS에 연동하는 과정에서 로그인을 할 시 유저 정보가 DB에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해서 잠시 중단한 상태입니다. 스프링 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 A new tool for teams & individuals that blends everyday work apps into one. elfin-leek-719.notion.site 2023.01.18 현재 구글/네이버 로그인을 할 때, AWS RDS에 user 정보가 들어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다. 뭐가 문제인지 찾기 위해서 localhost에서 스프링을 올려보니 기존 h2 데이터베..
인프런 입문 강의 [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]을 들으면서 정리한 내용입니다. 스프링 입문 -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, 웹 MVC, DB 접근 기술 A new tool for teams & individuals that blends everyday work apps into one. elfin-leek-719.notion.site